e스포츠 연구: 한국e스포츠학회지, Vol.6 no.2 (2024)
pp.3~18
- 놀이-축제로서의 e스포츠 연구를 위한 시론적 접근 : 의례와 축제, 놀이에 관한 이론을 중심으로 -
놀이는 인류 역사의 발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온 문화 요소이자 그 자체로 유의미한 사회성을 지닌 집 단적 실천이다. 전자게임에 관한 접근 역시 같은 관점으로 진행해야 한다. 게임이 축제나 의례와 같은 인간사 회의 전통적인 문화형태와 어떻게 이어지는지에 관한 탐구는 깊이 있는 이론적 성찰이 요구되는 작업인 것이 다. 본 연구는 여기에 주목하여 놀이의 공동체성과 집단적 실천행위로서의 의례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전자게임을 바탕으로 한 사회문화 현상인 e스포츠에 내재된 인류학적 의미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놀이에 관 한 고전적 논의를 검토하고, 터너의 의례 이론을 바탕으로 전통사회에서 현대에 이르는 놀이-축제가 지닌 사 회문화적 의미를 진단한다. 이 같은 논의 확장을 통해 e스포츠라는 문화현상을 단순히 경제효과나 산업 측면 에서만 보는 시각을 넘어 인류학적 의미에서의 문화로 포착하기 위한 분석 틀을 모색한다.
게임,놀이,의례,축제,e스포츠,리미널리티,리미노이드
The Theoretical Approach for Research on eSports as Play-festivals
Play is a cultural element tha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human history and is a collective practice with meaningful socialization in its own right. Electronic games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same perspective. Exploring how games relate to traditional cultural forms of human society, such as festivals and rituals, is a task that requires deep theoretical reflection.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anthropological implications of eSports, a socio-cultural phenomenon based on electronic games,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ommunality of play and ritual as a collective practice. To this end, classical discussions of play are reviewed, and Turner's theory of ritual is used to diagnose the socio-cultural significance of play and festivals from traditional to modern societies. Through this extension of the discussion, we seek an analytical framework to capture the cultural phenomenon of eSports as culture in an anthropological sense, rather than simply viewing it in terms of economic impact or industry.
game,play,ritual,festival,eSports,liminality,liminoid